아파트 담보대출 한도 계산법|소득·신용 따라 달라지는 기준
내 집 마련이나 생활 자금이 필요할 때 가장 많이 활용하는 금융수단이 바로 아파트 담보대출입니다. 하지만 대출을 신청하기 전에 내가 받을 수 있는 최대 한도를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은행은 단순히 아파트 시세만 보는 것이 아니라, 소득, 신용등급, DSR, LTV 규제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 대출 가능 금액을 산출합니다.
그렇다면 아파트 담보대출 한도는 어떤 기준으로 계산될까요? 아래에서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LTV와 아파트 담보대출 한도
LTV(Loan To Value, 담보인정비율)는 담보가치 대비 대출 가능 금액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 LTV가 70%라면, 시세 5억 원 아파트의 최대 대출 가능액은 3억 5천만 원입니다.
DSR 규제의 영향
DSR은 연간 원리금 상환액을 소득 대비 비율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연 소득이 6천만 원이고, DSR 규제가 40%라면 연간 2,400만 원까지만 원리금 상환이 가능하므로 대출 한도가 제한됩니다.
소득이 높을수록 대출 한도가 커지며, 신용도가 낮으면 금리가 올라가 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소득·신용도에 따른 대출 한도 비교
구분 | 연 소득 4천만 원 | 연 소득 6천만 원 | 연 소득 8천만 원 |
---|---|---|---|
신용우량(1~3등급) | 1.5억 ~ 2억 | 2억 ~ 3억 | 3억 이상 |
보통 신용(4~6등급) | 1억 ~ 1.5억 | 1.5억 ~ 2.5억 | 2.5억 ~ 3억 |
저신용(7등급 이하) | 최대 1억 | 1억 ~ 1.5억 | 1.5억 ~ 2억 |
아파트 담보대출 한도 확인 방법
대출은 단순히 금액만 보는 것이 아니라 상환 능력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무리한 대출은 금융 위험을 키울 수 있으므로 반드시 본인 상황을 기준으로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핵심 요약
- LTV: 담보가치 대비 대출 가능 비율
- DSR: 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 가능 비율
- 신용도가 낮으면 대출 한도 축소·금리 상승
- 공식 금융기관 사이트에서 반드시 확인
0 댓글